공무원 퇴직수당은 공무원이 퇴직할 때 퇴직연금과 별개로 퇴직금처럼 주는 퇴직수당입니다.

 

공무원의 퇴직수당 공식은 재직기간 x 기준소득월액 x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비율입니다.

 

- 재직기간?

공무원 임용 때부터 퇴직날 까지 근무했던 기간으로 최소 1년 이상 근무해야 받을 수 있습니다

 

- 기준소득월액?

기여금 및 급여 산정의 기준이 되는 것으로서 일정 기간 재직하고 얻은 소득에서 비과세소득을 제외한 금액의 연지급합계액을 12개월로 평균한 금액을 말하며 대충 평균월급이랑 비슷하다

자세한 기준소득월액은 공무원연금공단 홈페이지에서 본인의 기준소득월액을 확인해야한다

 

-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비율

재직년수마다 다른 비율 정한다

1. 재직기간 1년 이상 5년 미만 : 6.50%

2. 재직기간 5년 이상 10년 미만 : 22.75%

3. 재직기간 10년 이상 15년 미만 : 29.25%

4. 재직기간 5년 이상 10년 미만 : 32.50%

5. 재직기간 20년 이상 : 39%

​이렇게 재직간이 높을수록 비율이 높다 (저년차도 더 올려줬으면 하는 바람이다)

 

- 계산 예시

재직 기간 32년 공무원이 퇴직할 때 기준소득월액이 600만원 일경우 퇴직수당은?

6,000,000 x 32 x 0.39 = 74,880,000원

 

이러한 복한 수당 계산 등을 아래 복잡한 경찰 등의 교대직렬 현업부서 초과부터 각종 수당, 월급, 연봉을 계산을 해주는 어플을 소개해드리오니 한번 이용해보세요!

 

메모가 가능한 교대달력 바탕으로 경찰 소방 등의 복잡한 초과계산도 가능하고 일반직을 위한 일반달력도 있습니다!

 

그외 재밌는 기능들이 있으니 한번 이용해보세요!

 

 

+ Recent posts